Korea's Leading Radar + AI Company

2025

05
미래첨단자동차, 전후방레이다 센서용 메타표면 투명히터 개발 컨소시엄 참여 [ US 특허 1 건 ]

2025

05
금융위원회, 『 혁신프리미어 1000 』 사업선정기업

2025

04
메타표면 Meta-Surface() 설계적용을 통한 공간결합기 제작 [ 특허 1 건 ]

2025

04
『 벤처기업 』인정

2024

10
세계 최초, AI 기반실시간 자동유량계측시스템 개발 및 사업화 [ 특허 1 건 ]

2024

08
생산 공장 확장 이전

2024

07
산업통상자원부, ISO-748 기반24 GHz 멀티포인트전자파 표면 유속계『 양산성능평가지원 사업 』 선정

2024

02
ISO-748기반 24 GHz 멀티포인트전자파 표면 유속계, 『 KOICA ODA 사업 』 공급

2023

0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구매조건부정부과제 』 선정 [ 특허 1 건 ]

2023

06
『 기업부설연구소 』 인정

2023

02
세계 최초, ISO-748 기반 24 GHz 멀티포인트전자파 표면 유속계개발 및 사업화 [ 특허 2 건 ]

2022

12
세계 최초, C-ITS용 24 / 60 GHz / 120 GHz 멀티밴드레이다 센서 개발 [ 특허 2 건 ]

2021

08
『 연구개발전담부서 』 인정

2021

08
㈜ 케이알에스설립

세계 최초, ISO-748 기반 24GHz 멀티포인트 전자파 표면 유속계

SPEC
• 측정 거리 : 1 ~ 50 [m]
• 측정 범위 속도 : 0.03 ~ 30 [㎧]
• 해상도 : 0.001 [㎧]
• 빔 각도 : 50º/30º [Azimuth/Elevation]
• 데이터 측정 포인트 설정 : 1~63개 [Azimuth] / 1~5개 [Elevation]
• 방수등급 : IP67
• 통신 프로토콜 : TCP-IP / UDP / ModBus RTU
• 사용 전원 : 12 ~ 36 [VDC]
• 소모 전류 : < 1000 [㎃]
• 동작 온도 : -40°C ~ +85°C
특허 보유 : 멀티 포인트 유속 측정을 위한 전자파 표면 유속계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전자파 수위계

SPEC
• 동작 전압 : 12~36 [V]
• 측정 범위 : 30 [m]
• 정확도 : ± 2 [mm]
• 분해능 : 1 [mm]
• 방수등급 : IP67
• 통신 프로토콜 : Modbus / BLE 5.0
• 동작 온도 : -40°C ~ +85°C

전자파 유량계

SPEC
• 동작 전압 : 12 [V]
• 유속 측정 범위 : 0.03 ~ 30 [m/s]
• 유속 최대 측정 거리 : 1 ~ 50 [m]
• 유속 측정 해상도 : 0.001 [m/s]
• 유속 정확도 : ±2 [%]
• 수위 최대 측정 거리 : 35 [m]
• 수위 측정 해상도 : 1 [mm]
• 수위 측정 정확도 : ±2 [mm]
• 유량 측정 정확도 : ≤ 2 [%]
• 통신 프로토콜 : ModBus, UDP
• 방수등급 : IP67
• 동작 온도 : -35°C ~ +75°C
특허 보유 : 멀티밴드 레이다 센서 및 AI 기반 유량 측정 시스템

RFSoC기반 디지털수신판

SPEC
• Core : Xilinx Zynq UltraScale Gen3(XCZU47DR / XCZU48DR)
• Interface :
     - VPX 기반 PCI Express(Gen 1, 2, 3)
     - 10G Aurora- Ethernet
     - RS232 / RS422
     - SPI
• Memory : NVMe / Flash / SD Card / DDR4
• S/W : Peta Linux

고출력증폭반(SSPA)

SPEC
· 주파수 : C-Band
· 입력 신호 세기 : -10~ 0 [dBm]
· 출력 신호 세기
     - 저출력 모드 : 24 [dBm] ± 1 [dB]
     - 고출력 모드 : 44 [dBm] 이상
· 운용 대역폭 : 8 [MHz]
· 대역 내 평탄도
     - 8MHz : ± 0.25 [dB] 이내
     - 운용 대역폭 : ±0.5 [dB] 이내
· 출력 특성 (@ + 44 [dBm] 이상)
ㅤ- 인접채널간섭 : -23 [dBc] 이하
ㅤ- 불요파 : -60 [dBc] 이하
ㅤ- 고조파 : -30 [dBc] 이하
· 전원 입력 : +27~ +29 [VDC]
· 통신 방식 : Bust 형태 RF 입력 및 지시신호를 받아 출력
· 제어 수행 : RS-422 인터페이스로 제어 및 상태 정보 제공
· 상태 정보
ㅤ- 순방향 출력신호세기 / 역방향 출력신호세기
ㅤ- VSWR 상태
ㅤ- 소모 전류
ㅤ- 입력 전압
ㅤ- 온도

X-Band 레이다용 파형발생모듈

SPEC
· 파형발생기능 : PT, LFM 파형 생성
· 주파수 : 8.5~ 8.6 [GHz]
· LFM 대역폭 : 40 [MHz]
· LFM 평탄도 : 0.5 [dB] 이내
· 펄스 Droop : 0.3 [dB] 이내
· 출력 레벨
ㅤ- 송신 출력 : 42.5 [dBm] ±1 [dB]
ㅤ- 수신 CAL 단자 : 10.5 [dBm] ±1 [dB]
· 고조파/ 불요파 : 65 [dBc] 이상
· 정재파비 : 1.7 : 1 이하
· 펄스폭 : 0.5 ~ 5.0 (Duty : 15% 이상)
· 펄스 상승/하강 시간 : 50 [ns] 이하
· 전원 입력 : +25, +12, +5 [VDC]
· 기능 : 출력레벨제어, 통신 제어/응답, 시스템클럭 변환, BIT 점검

X-Band 레이다용 4-채널 하향변환모듈

SPEC
· 운용주파수
- 입력 : X-Band
- 출력 : P-Band
· 채널수 : 4 [개]
· 크기:120*100*27 [mm]
· 이득: 30[dB] 이상
· 이득조정 :0~30 [dB]
· 잡음지수 : 7[dB] 이하
· 출력P1dB: +12 [dBm] 이상
· 전원: +12[VDC]· 소모전력 : 15[W] 이하
· 제어: I²C/ SPI / LVTTL
· 기능
ㅤ- 저잡음증폭 / 주파수 하향변환
ㅤ- 국부신호자체 발생 (REF. CLK 입력)
ㅤ- 경로 점검 및 점검 결과(BIT)전송
ㅤ- 이득조정

X-band 레이다 시스템용 파형발생기

반도체형 고출력 증폭 모듈 제어기

K-band 레이다 시스템용 디지털 신호 처리기

이더켓 보드

신호 측정 모듈

사단급 대포병 파형 발생 모듈

Xilinx Zynq 기반 디지털신호처리기

고효율 공간 결합기

레이다 시스템용 빔조향 모듈

레이다 시스템용 빔조향 모듈

back